Web

HTTP 웹 기본 지식 정리 - URI 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모모토 2021. 9. 7. 12:11
반응형

※ 본 포스팅은 Inflearn - 김영한 강사님의 'HTTP 웹 기본 지식 정리' 을 참고,공부하여 만들었습니다.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이다. URI의 존재는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기본조건으로서 인터넷 프로토콜에 항상 붙어 다닌다.

 

그런데 URI URL URN ? 이것들의 차이점이 뭐지?

URI의 하위개념으로 URL, URN 이 있다.

URI 는 Resource Identifier 로써 URL 과 URN 을 포함하고 있다.

URL : Resource Locator -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URN : Resource Name -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

그리고 보통 URL 과 URI는 구분하지 않고 쓴다. 왜냐하면 상위 하위 개념이기때문 , URN은 성격이 좀 달라서 예외이다.

 

URL 전체 문법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URL :  https://www.google.com:443/search?q=hello&hl=ko

웹브라우저에서 해당 URL 을 보고 작동하는 과정

  1. 구글의 DNS 서버 조회 , https는 포트 생략
  2. HTTP 요청 메세지를 생성

그 이후 작동과정

 

 

따라서 최종 패킷(Packet)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글 서버는 다음의 패키지를 받고 전송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해석한다.

그리고 HTTP 응답 메세지를 반환함 , 이 응답메세지도 똑같이 패킷(TCP/IP 패킷)으로 보내게 된다.

 

참고로 응답메시지에는 해당 도메인과 쿼리(한글적용 등등)에 맞춰서 HTML form을 응답메시지로 보내어 해당 페이지를 볼 수 있게된다.

 

 

우리가 GET메서드로 요청한 URL 주소와 해당 HTTP 스펙 

 

 

그 결과로 인하여 받은 HTML 폼이다. 예시로 보여주기 위해서 이미지를 가져온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서블릿을 다룰때 자세하게 다룰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