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2

[Inflearn]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 관계 주입

※ 본 포스팅은 Inflearn -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을 참고,공부하여 만들었습니다. 이 주제를 선택한 이유 , 개발자의 고충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 자바 코드의 @Bean , XML 의 등을 통하여 스프링빈을 등록한다. Singleton 에서 참고로 사용했던 'AppConfig' 라는 DI컨테이너 내부에 '개발자'가 설정정보를 입력하여 , 빈을 등록하고 의존관계를 주입하였다. 예제차원에서는 빈으로 등록할 개수는 많지 않았기에 AppConfig에 빈과 의존관계를 주입하는게 어렵지는 않았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 수준에서 생각해볼때 모든 객체를 AppConfig에 설정정보를 입력하여 관리하는게 과연 효율적일까? 만약 AppConfig에 등록해야할 객체를 누락한다면 ? 무엇보다..

Spring/Spring Study 2021.08.20

[Inflearn] 싱글톤(Singleton) 컨테이너

※ 본 포스팅은 Inflearn -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을 참고,공부하여 만들었습니다. 싱글톤 이란? 싱글톤은 객체지향 디자인패턴중 하나이고 이 싱글톤 패턴은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하도록 보증하는 패턴, 최초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그 이후에 인스턴스를 계속해서 생성해도 똑같은 인스턴스를 반환시켜준다. Service service = new Service(); 클라이언트가 위의 객체를 사용하는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마다 , 인스턴스를 생성 만약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만약 A,B,C 3명이 아닌 100,000명 1,000,000명이 이용한다면 그수에 맞는 인스턴스를 생성, 소멸해야한다. 이는 엄청난 메모리 낭비와 함께 트래픽 문제를 발생시킨다. 하..

Spring/Spring Study 2021.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