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2

INDEX에 대하여, JOIN을 곁들인

JOIN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테이블을 결합해 데이터를 조회하는 기능이다.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그 관계를 기반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하나의 결과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예를 들어, 고객 정보와 주문 정보를 각각 다른 테이블에서 조회하고자 할 때, JOIN을 사용하면 두 테이블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고객별 주문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JOIN은 여러 테이블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므로, 테이블의 크기가 크거나 결합 조건이 복잡할 경우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JOIN을 사용할 때는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여기서 중요한 도구 중 하나가 바로 인덱스다.  인덱스는 특정 데이터를 빠르게 찾기 위한 도구로, 테이블의 특정 컬럼에 대해 데이터를 정렬된 구조로 저장하여,..

DBA의 길 2024.10.13

Postgres - PG Architecture and Process

한달전 회사에서 postgres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고 간단하게 설명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알아도 아는 게 아닌것같은 묘한 IT 세계 정답은 기록뿐 그동안의 공부한것들을 다시한번 가벼운 마음으로 회상해보도록 하자  아래의 사진은 기존에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사진을 가져와봤는데   흠 마음에 들지않아 내가 임의로 그려보았다.  postmaster 는 client의 요청을 받을때마다 자신을 pork하여 postgres daemon을 생성한다. 이 daemon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들(BG writer , Wal Writer , Check pointer , Archiver , Vacuum launcher , Logger ... ETC)  1. BG Writer (Back Ground Writer) - 버퍼 캐..

DBA의 길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