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XI에 GUI로 접속이 되는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자 ESXI를 만들고 ESXI에 Network 어댑터를 추가해준 후 IP를 설정 한다.
01234
그러고 나서 Web으로 ESXI에 접근후 , 스위치메뉴로 가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TEST switch는 이전에 가상머신끼리 통신을 하기위해서 만들었던 Switch이다.
https://griffithh.tistory.com/101
VMware를 통한 서버 가상화의 구성 요소 ESXI 위에 가상머신(VM) 설치및 Switch 생성 연결
https://griffithh.tistory.com/100 가상화 (假像化, virtualization) 가상화란? 물리적 구조 vs 논리적인 구조 물리적인 컴퓨터 자원을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 비용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griffithh.tistory.com
정리하자면 ESXI에 IP를 설정 하면 vSwitch0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VMK0에 192.168.2.56이 설정 된다. VMK0는 vSwitch0에 연동 된다.
정리해보면
- VMK x 란 ESXI에서 사용하는 논리적인 L3 interface 이다.
- VMK 0 이란 ESXI 설치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ESXI의 Management IP이다. VMK 0 은 자동으로 vSwitch0에 연동된다. vSwitch0에는 물리적인 uplink가 자동으로 연동 된다.
'가상화 , Virtualiz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를 통한 서버 가상화의 구성 요소 vCenter 설치 with Windows Server 2016 for DNS Server (0) | 2022.02.10 |
---|---|
VMware를 통한 서버 가상화의 구성 요소 vCenter란? (feat.vSphere) (0) | 2022.02.09 |
VMware를 통한 서버 가상화의 구성 요소 ESXI 위에 가상머신(VM) 설치및 Switch 생성 연결 (0) | 2022.02.07 |
가상화 (假像化, virtualization) 그리고 ESXi (0) | 202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