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0 2

DBA 의 컴퓨터 공부 - write throuth , write back 그리고 Postgres

기존의 MCU가 아닌 리눅스 기준으로 write throuth , write back 을 정리해보자 차이라면 아마도 디스크냐 메모리에 기입이냐 차이가 아닐지싶다.  write-through 방식은 캐시 데이터가 변경될 때 즉시 디스크에도 기록하는 방식이다. 성능은 낮지만, 데이터 일관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유리하다. 예를 들어, 매우 중요한 데이터를 다루는 시스템에서 write-through가 사용될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데이터를 캐시나 버퍼에 먼저 저장한 후, 일정 시점에 디스크로 기록하는 write-back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이는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며, 시스템 충돌이나 전원 장애 시 데이터 손실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시스템에서 로그나 WAL을 사용해 ..

DBA의 길 2024.10.20

DBA 의 컴퓨터 공부 - 엔지니어로써 알아야 할 LINUX Memory (free -h)

Postgres 공부를 하면서 그리고 datapage , memory에 관한 공부를 진행하면서 더욱 근본적인 컴퓨터에 대해서 공부의 필요성을 느꼈다. 어쩌면 컴퓨터에서 일어나는 일이기에 당연한 것이기도하다. 컴공과 출신이 아닌 내가 지금이라도 한 번 정리해야하는건 필연적인 과정이다. 리눅스에서 메모리는 시스템 성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메모리 자원의 적절한 관리는 시스템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free -h` 명령어는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 상태를 확인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사람이 읽기 쉽게 메모리 사용량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free -h` 명령어의 출력 항목을 기반으로 리눅스 메모리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1. Mem (물리적 메모리) 섹션 - total (전체 메모리) ..

DBA의 길 2024.10.20